본문 바로가기
상식/친족상도례

[제사] ① 제사 지내는 순서, 절하는 방법, 제사의 종류와 날짜

by 호기심 스마일 2024. 8. 12.
반응형

조상님을 모시고 가족의 유대를 다지는 제사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핵심이자, 가족의 뿌리를 기억하는 중요한 의식입니다. 그러나 "오늘이 네 제삿날이다"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조롱이나 저주를 의미하는 말로 쓰입니다. 누군가에게 불행이나 최후가 다가왔다고 암시하는 표현으로, 상대방이 큰 위기에 처해 있음을 강조하거나, 곧 큰 벌을 받을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제삿날이란 원래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날인데, 이를 살아 있는 사람에게 적용해 그 사람의 인생이 끝나는 날처럼 묘사하는 것이죠.

 

제사는 지내는 순서부터 제사의 종류와 날짜, 그리고 지방 쓰는 방법까지, 복잡하고 생소한 절차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전통을 잊고 지내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그 속에는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의미들이 담겨 있습니다. 이번 제사 시리즈의 첫 번째 글에서는, 제사의 기본적인 순서와 다양한 제사의 종류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과연 왜 이 모든 과정이 중요할까요? 지금부터 그 의미를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제사-날짜-순서-방법
제사상 이미지

 

1. 제사 지내는 순서

1) 설위(設位) : 제사 준비의 시작

제사를 시작하기 전에 모든 제사에 참여할 사람이 손을 씻고 제사 음식을 준비합니다. 이때, 음식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차려지며, 참여자들은 정해진 자리에 서서 준비를 마칩니다. 설우는 제사가 시작됨을 알리는 첫 단계로, 조상님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과정입니다.

 

2) 취신위(就神位) : 조상님을 모시다

조상님의 신위(신주, 지방, 혹은 사진)를 제사상에 모십니다. 이 과정은 조상님을 제사에 초대하는 상징적 행위로, 제사의 중심이 됩니다.

 

3) 분향(焚香) 및 강신(降神) : 조상님을 초대하다

제사 주인이 향을 피우고, 조상님께서 강림하여 음식을 드시도록 청하는 단계입니다. 제사 주인이 꿇어앉아 향을 피우고, 술잔을 따릅니다. 이 과정에서 제사를 드리는 사람들은 조상님께 공손한 마음을 담아 절을 올립니다.

 

4) 참신(參神) : 조상님께 인사드리기

모든 참여자가 조상님을 향해 절을 올리는 절차입니다. 조상님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5) 초헌(初獻) : 첫 번째 술잔을 올리다

제주(장남 또는 장손)가 꿇어앉아 첫 번째 술잔을 올립니다. 술을 세 번에 나누어 따르며, 술잔을 올린 후 조상님께 절을 합니다. 초헌은 제사에서 가장 중요한 술잔으로, 조상님께 가장 먼저 바치는 음복입니다.

 

6) 독축(讀祝) : 축문을 읽다

축문은 조상님께 바치는 글입니다. 제사 주인의 옆에서 축관이 천천히 축문을 읽고, 모든 참여자가 조상님께 다시 절을 합니다. 독축은 제사의 정성을 담아 조상님께 마음을 전하는 과정입니다.

 

7) 아헌(亞獻)과 종헌(終獻) : 두 번째와 세 번째 술잔

첫 번째 술잔을 올린 후, 두 번째와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입니다. 이 술잔은 보통 가족 중 연장자나 가까운 친척이 올립니다. 아헌과 종헌은 조상님께 이어서 음복을 드리는 단계입니다.

 

8) 계반삽시(啓飯揷匙) : 밥을 드시도록 준비하다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습니다. 수저의 방향은 조상님을 향해 동쪽으로 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과정은 조상님께서 식사를 시작하시도록 돕는 상징적인 행위입니다.

 

9) 첨작(添酌) : 술을 더 올리다

초헌자가 다시 술을 따르고, 이를 제사상에 세 번에 나누어 올립니다. 첨작은 조상님께서 음식을 충분히 드실 수 있도록 추가로 권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0) 합문(闔門)과 개문(開門) : 조상님께 시간을 드리다

참여자들이 방을 나가 문을 닫고, 조상님께서 음식을 드실 시간을 드립니다. 잠시 후, 제사 주인이 문을 열기 전에 기침을 세 번 하고 문을 엽니다. 조상님께서 음식을 다 드셨는지 여쭙는 의미가 있습니다.

 

11) 헌다(獻茶) : 숭늉을 올리다

숭늉을 올리고, 밥을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놓습니다. 이는 조상님께 마지막으로 음식을 권하는 단계입니다. 모든 참여자는 잠시 머리를 숙이며, 제사 주인의 신호에 따라 고개를 듭니다.

 

12) 철시복반(撤匙復飯)과 사신(辭神) : 제사 마무리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의 뚜껑을 닫습니다. 이후, 조상님께 작별 인사를 드리고, 신위를 원래의 자리로 모십니다. 지방과 축문을 불태우며 제사를 마칩니다.

 

13) 철상(撤床)과 음복(飮福) : 음식을 나누다

제사상이 물려지고, 제사에 사용된 음식을 가족과 함께 나눠 먹습니다. 이는 조상님께서 주신 복을 가족이 함께 나누는 의미로, 음식을 이웃과 나누거나 어른들께 대접하기도 합니다.

 

제사-순서-절하는-방법
제삿상과 절하는 장면

 

2. 절하는 방법 및 횟수

남자

제사 때 남성은 두 번 절(재배, 再拜)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조상에 대한 공경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절 방식입니다.

 

그리고 남성은 절을 할 때 큰절(큰 절)을 합니다. 큰절은 무릎을 꿇고 몸을 완전히 숙여 이마가 땅에 닿도록 하는 절입니다. 손을 바닥에 대고 이마를 숙인 후, 일어날 때도 허리를 펴지 않고 천천히 일어섭니다.

여자

여성도 제사 때 남성과 마찬가지로 두 번 절을 합니다. 절의 횟수는 동일하나, 절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여성은 평절(평 절)을 합니다. 평절은 남성의 큰절과 달리 무릎을 꿇은 후, 손을 바닥에 대고 고개만 숙이는 절입니다. 몸을 많이 숙이지 않고, 고개를 약간만 숙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근래에 들어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절의 방식과 횟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가족 중심의 제사에서는 전통적인 성별 구분을 따르지 않고, 남녀 모두 같은 방식으로 큰절을 하거나, 평절을 하는 등 융통성 있게 운영되기도 합니다.

 

3. 제사 날짜와 종류

제사는 조상님을 기리고 가족의 유대를 다지는 중요한 전통입니다. 제삿날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제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음력 기준)을 매년 기일(忌日)로 삼아, 그날에 제사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기일 제사는 고인을 기리는 주요한 방법으로, 매년 그 날짜에 가족들이 모여 고인을 추모하는 제사를 올립니다.

제삿날 : 고인이 돌아가신 날(음력)매년 기일(忌日)로 정한다

 

고인이 돌아가신 직후, 매년 돌아가신 날을 기준으로 제삿날이 정해지며, 이후 그 날짜에 맞춰 제사를 지내는 것이 전통적인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고인이 음력 5월 15일에 돌아가셨다면, 매년 음력 5월 15일이 제삿날이 됩니다.

 

1) 49제

49제(四十九齋)는 불교에서 유래된 의식으로, 사람이 사망한 후 49일 동안 영혼이 이승과 저승을 오가며 업보에 따라 환생의 길이 결정된다고 믿어 이를 기리기 위해 지내는 제사입니다. 이 기간 동안 유족들은 고인의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며, 공덕을 쌓고 기도를 올립니다.

 

49일이라는 숫자는 불교의 윤회 사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그 영혼이 49일 동안 7일 간격으로 일곱 번 심판을 받는다고 합니다. 이 기간을 '중유(中有)'라고도 부르며, 고인의 영혼이 이 기간 동안 극락왕생하거나 좋은 곳에 환생할 수 있도록 기도하는 것이 49제의 목적입니다.

 

49제는 고인의 영혼이 환생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이 기간 동안 가족들은 고인을 위해 절에서 재를 올리고, 스님을 초빙해 공덕을 쌓는 등의 의식을 치릅니다. 또한, 49일이 되는 날에는 마지막으로 큰 재를 올리며, 고인이 좋은 곳으로 갈 수 있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특별히 정성스럽게 제사를 지냅니다.

 

49제는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불교문화가 전파된 여러 나라에서 중요한 장례 의식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고인에 대한 존경과 사랑을 표현하는 중요한 전통으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2) 소상(小祥) : 1년째 지내는 제사

소상은 고인이 돌아가신 지 1년째 되는 날에 지내는 제사입니다. 돌아가신 지 정확히 13개월(윤달 제외)이 지난날에 가족들이 모여 제사를 올립니다. 이는 첫 번째 기일에 지내는 제사로, 고인을 추모하며 그리움을 나누는 시간입니다.

 

3) 대상(大祥) : 2년째 지내는 제사

대상은 고인이 돌아가신 지 2년째 되는 날에 지내는 제사입니다. 소상 이후 두 번째 기일로, 고인을 기리며 또 한 번 추모의 시간을 갖습니다. 25개월(윤달 제외)이 지난 시점에 가족들이 다시 모여 제사를 올립니다.

 

4) 담제(禫祭) : 2년 3개월째 지내는 제사

담제는 대상을 지낸 후 한 달 후에 지내는 제사로, 고인이 돌아가신 지 27개월이 되는 날에 올립니다. 이 제사는 고인의 영혼을 다시 한번 기리고, 추모의 마음을 정리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5) 시제(時祭) : 계절마다 지내던 제사

시제는 원래 한 해에 네 번, 계절이 바뀔 때마다 조상님께 지내던 제사입니다. 주로 종묘(왕가의 조상신을 모시는 곳)에서 행해졌으나, 오늘날에는 거의 지내지 않습니다.

 

6) 다례(茶禮) :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다례는 음력으로 매달 초하루나 보름, 생일 등 특정한 날 낮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입니다. 정월 초하루에 지내는 연시제와 팔월 추석에 지내는 절사도 다례의 일종입니다. 가족이 함께 모여 간단하게 조상님을 기리는 시간입니다.

 

7) 기제(忌祭) : 기일에 지내는 제사

기제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마다 해마다 지내는 제사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제사'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기제입니다. 돌아가신 날을 기억하며 매년 그날에 조상님을 기리는 제사를 올립니다.

 

8) 묘제(墓祭) :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

묘제는 조상님의 묘소에 가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보통 한식(4월 5일 전후)이나 10월에 날짜를 정해 가족들이 묘소에 모여 제사를 지냅니다. 조상님의 묘를 직접 찾아가 추모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9) 천신(薦神) : 새 곡식을 바치는 제사

천신은 철마다 새로 나온 곡식이나 과일을 사당에 올리며 지내는 제사입니다. 새로운 농작물을 수확한 후 조상님께 먼저 바치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제사는 단순한 의례가 아닌, 조상님과의 대화이자 가족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신성한 시간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제사 지내는 순서, 제사의 종류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허례허식 같지만 사실 제사의 각 과정에는 잊히지 말아야 할 중요한 전통과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제사 지방 쓰는 방법과 상차림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제사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고, 그 속에 숨겨진 이야기를 함께 이어가 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