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통 예절24

전통 옛날 넓이 길이 부피 단위(마지기, 척, 홉)와 숫자, 촌수 한자 우리의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통 단위는 오랜 세월에 걸쳐 사용되어 온 소중한 유산이기도 합니다. 넓이, 길이, 부피 등의 다양한 단위와 숫자 표현 등은 지금은 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없지만 실생활에서 쓰이기도 하며, 우리의 문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도 필요합니다. 아래에서는 전통 단위와 숫자, 그리고 촌수를 통해 가족과 주변을 이해하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합니다.전통 단위 종류넓이 단위단보 (段步) :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는 단위로, 1단보는 약 300평(991.74㎡)입니다.마지기 : 논밭의 넓이를 나타내며, 1마지기는 약 150평(약 496.03㎡)입니다.평 (坪) : 주거지나 땅의 넓이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로, 1평은 약 3.3㎡입니다.길이 단위리 (里) : 거리 단위로 약 0.4km.. 2024. 11. 19.
[묘사와 묘제] (3) 축문 쓰기의 실제 예시와 다양한 상황별 작성 사례 (PDF 첨부) 축문은 제사를 지낼 때 조상님께 고하는 정성스러운 글로, 각 상황에 맞는 형식과 내용을 이해하고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상황별 축문 예시를 소개하며, 그 작성 방법과 의미를 풀이해 드립니다. 올려드린 PDF 파일을 참고하시어 작성하시면 되는데, 사이즈를 2/3으로 축소해 놓았으니 이 점 참고 바랍니다.발인축(發引祝)(1) 의미발인축은 영구를 상여에 모시고 유택으로 이동할 때 조상님께 드리는 글입니다. "견전축(遣奠祝)"이라고도 불리며, 영혼의 이동을 고하고 마지막 인사를 드리는 역할을 합니다.(2) 축문 예시靈輀旣駕 往卽幽宅 載陳遣禮 永訣終天"영혼께서 이제 상여를 타시고 유택으로 가시게 되었사와, 전을 올리옵고 이승을 마침을 고하나이다."산신축(山神祝)(1) 의미산신축은 묘지를 .. 2024. 11. 18.
[묘사와 묘제] (2) 일반적인 축문 쓰는 법과 작성 요령, 축문 뜻 축문(祝文)은 제사를 지낼 때 조상님께 제사의 연유를 알리고 제수 음식을 권하는 글입니다. 예로부터 한자로 작성하였으며, 조상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현하는 것이죠. 근대에는 한글로 풀어쓰는 축문도 일반화되고 있지만, 축문을 작성할 때에는 전통적인 형식과 내용의 의미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축문 작성의 기본 원칙과 실용적인 작성 방법을 소개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쓰일 수 있으니 고루 활용해 보시면 좋겠습니다.축문은 신명 앞에 고하는 글이며 그 내용은 제위분께 간소한 제수나마 흠향하시라는 뜻을 고하는 글입니다. 고로 한문의 뜻을 풀이하면 잘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러나 지금은 한글로 알기 쉽게 쓰기도 하며 크기는 폭 24cm정도 길이는 36cm 정도로 합니다.축문이란 무엇인가?.. 2024. 11. 17.
[묘사와 묘제] (1) 지내는 시기, 절차, 순서 방법 정리 묘사(墓祀)와 묘제(墓祭)는 조상의 은혜를 기리고, 가족의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제례입니다. 보통은 설날, 추석, 조상의 기일 등 특정한 시기에 산소를 찾아가 지내며 조상님을 기리는 것으로, 지역과 가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고인의 영혼에 대한 존경과 후손의 사랑을 전하기 위한 것이죠. 하지만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수도 있는데요, 묘사와 묘제의 시기, 절차, 그리고 방법을 정리해드리면서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묘사(墓祀)와 묘제(墓祭)묘사는 묘지에서 지내는 제사 전반 묘제는 특정 날에 가족이 모여 묘지에서 지내는 제사묘사(墓祀)와 묘제(墓祭)는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묘사(墓祀)묘지에서 지내는 제사를 가리키며, 조상 묘 앞에서 고인을.. 2024. 11. 11.
[24절기] 겨울 절기 │⑤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이야기, 양력 날짜 겨울이 찾아오면 우리가 자연스럽게 떠올리는 건 차가운 바람과 함께 설레는 첫눈일 거예요. 하지만 겨울은 단지 추위만을 의미하지 않아요. 우리의 전통 속에서는 ‘24 절기’라는 계절의 흐름을 통해 겨울을 맞이하는 준비를 하고, 그 속에 담긴 자연의 변화를 섬세하게 관찰했죠. 오늘은 그중에서도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입동부터 겨울의 끝을 의미하는 대한까지, 겨울 절기 6가지를 하나씩 살펴볼 거예요. 각 절기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그리고 어떤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겨 있는지 함께 알아봐요!  입동 (立冬) – 양력 11월 7일경입동은 겨울이 시작된다는 뜻을 담고 있어요.한자 ‘입(立)’은 ‘시작하다’, ‘동(冬)’은 ‘겨울’을 의미하죠. 중국에서는 입동을 5일씩 나눠 세 가지로 구분했는데, 첫 번째 5.. 2024. 9. 11.
[24절기] 가을 절기│④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이야기, 양력 날짜 여러분, 가을 하면 무엇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선선한 바람, 노랗게 물든 단풍, 그리고 풍성한 수확의 계절! 사실 가을은 그 자체로 아름답고 풍요로운 계절이지만, 우리의 전통 속에서는 ‘24 절기’라는 특별한 시간표로 더욱 깊이 느낄 수 있답니다. 그중에서도 오늘은 가을을 여는 첫걸음인 '입추'부터 시작해 '상강'까지, 총 6개의 가을 절기에 대해 이야기해 볼게요. 이 절기들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흥미로운 이야기까지 한 번 들어보실래요? 입추 (立秋) – 양력 8월 7일경입추는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한자 '입(立)'은 서다, 시작하다를 의미하고, '추(秋)'는 가을을 뜻하죠. 비록 이 시기에는 한여름의 더위가 남아있지만, 입추가 지나면 밤바람이 살짝 선선해지.. 2024. 9.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