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족과 전통38

[친족 관계] ⑤ 사위, 며느리, 사돈 간의 호칭 정리표 결혼은 두 사람만의 만남이 아닌 두 가정의 연결입니다. 결혼을 통해 새로운 친족 관계가 형성되면서,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호칭들이 생겨납니다. 이로 인해 어떻게 사위, 며느리를 불러야 할지, 그리고 사돈 간의 호칭은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결혼 후 형성되는 사위, 며느리, 사돈 간의 호칭을 간단히 표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사위와 며느리의 양가 부모님 간 호칭│바깥사돈 며느리의 친정아버지나 사위의 아버지를 양가에서 서로 부를 때 사용합니다. 이 호칭은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존중의 의미로 "사돈어른"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안사돈 며느리의 친정어머니나 사위의 어머니를 부를 때 사용됩니다. 때로는 "사부인"이라는 높임말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돈의 부모님에 대한 호.. 2024. 8. 19.
[제사] ③ 제사상 차리는 방법, 음식 놓는 순서, 성균관 제사 간소화 내용 조상님을 기리는 제사는 우리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점점 전통과 멀어지는 우리들에게는 복잡하고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매년 돌아오는 제사 때마다 상차림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과연 모든 전통을 다 지켜야 하는지 고민이 많으셨을 겁니다. 하지만 이런 복잡함 속에서도, 제사는 가족의 뿌리를 확인하고 유대감을 다지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최근 성균관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덜어줄 제사상 간소화 방안을 제안하며,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적인 제사상 차리는 방법과 함께, 성균관이 제안한 간소화 방안을 살펴보며, 제사의 의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제사상 차리는 방법1) 좌서우동(左西右東)제사상에서 신위(조상.. 2024. 8. 12.
[제사] ② 제사 지방 쓰는 법, 지방 양식 파일 다운로드(한글, PDF) 제사에서 '지방'은 고인을 기리는 중요한 상징물로, 조상님의 이름과 직함 등을 적어놓은 종이를 말합니다. 지방을 정확하게 쓰는 것은 고인을 향한 예의와 존경을 나타내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설날과 추석 등 차례가 있을 때마다 쓰는 종이라고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은데요, 이렇게 종이에 써서 모신 신위를 ‘지방’ 이리고 합니다. 지방은 어떤 내용을 어떻게 쓰는지 궁금하시죠?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과 함께 쉽게 다운로드하여서 쓰실 수 있도록 양식도 올려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면서 시작해 보겠습니다. 0. 지방의 규격가로 6cm, 세로 22cm로 흰색종이(한지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A4 용지도 가능)를 잘라서 사용합니다. 글 아래쪽 9번에 한글 파일과 PDF로 올려두었습니다. 한글 파일은 .. 2024. 8. 12.
[제사] ① 제사 지내는 순서, 절하는 방법, 제사의 종류와 날짜 조상님을 모시고 가족의 유대를 다지는 제사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핵심이자, 가족의 뿌리를 기억하는 중요한 의식입니다. 그러나 "오늘이 네 제삿날이다"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조롱이나 저주를 의미하는 말로 쓰입니다. 누군가에게 불행이나 최후가 다가왔다고 암시하는 표현으로, 상대방이 큰 위기에 처해 있음을 강조하거나, 곧 큰 벌을 받을 것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제삿날이란 원래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날인데, 이를 살아 있는 사람에게 적용해 그 사람의 인생이 끝나는 날처럼 묘사하는 것이죠. 제사는 지내는 순서부터 제사의 종류와 날짜, 그리고 지방 쓰는 방법까지, 복잡하고 생소한 절차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한 전통을 잊고 지내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그 속에는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 2024. 8. 12.
[친족 관계] ④ 결혼 후 시댁, 처가 호칭 정리표│남에게 이야기할 때 지칭어 결혼을 하게 되면 새로운 가족이 생기면서 그 가족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간의 호칭이 굉장히 중요하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잘 쓰지 않던 호칭들 때문에 헷갈리기도 하고, 혹시 실수할까 걱정되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결혼 후 시댁과 처가에서 가족들을 부르는 호칭과, 주변 사람들에게 우리 처가와 시댁 식구들을 어떻게 지칭해야 할지 정리한 내용을 통해, 새롭게 생긴 가족들과의 관계를 조금 더 편안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나'를 중심으로 살펴보실 수 있도록 엑셀 표로 정리해 드렸으니 도움이 되신다면 좋겠습니다. 또, 남에게 시댁 식구나, 처가 식구를 언급할 때 뭐라고 불러야 할지도 알려드려요.시댁 호칭결혼해서 며느리가 된 후, 시.. 2024. 8. 11.
[친족 관계] ③ 법적 범위, 친족의 종류(호칭표) │ 어디까지 친척이라고 할까?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친척'이라는 단어는 정확히 어디까지를 포함하는 걸까요? 가족 모임이나 명절 때마다 헷갈리는 친족 관계의 범위와 호칭, 그리고 그 법적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친족 관계의 법적 범위'와 '친족의 종류'를 중심으로, 어디까지가 친척으로 인정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친족 관계의 법적 범위친족이라는 말은 결혼이나 혈연, 즉 피로 이어진 관계를 가진 사람들을 의미해요. 쉽게 말해, 가족과 같은 개념이에요. 친족 관계는 한 사람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람들과 이어지는 관계를 말하는데, 이 관계는 사회나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어요. 우리 사회에서는 배우자, 혈족, 인척을 모두 친족이라고 부르고 있어요. 법적으로 친족이 되는 범위는 8촌, 4촌, 배우자까지입니다. 사실.. 2024.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