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친척호칭2 [친족 관계] ④ 결혼 후 시댁, 처가 호칭 정리표│남에게 이야기할 때 지칭어 결혼을 하게 되면 새로운 가족이 생기면서 그 가족들을 어떻게 불러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됩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가족 간의 호칭이 굉장히 중요하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잘 쓰지 않던 호칭들 때문에 헷갈리기도 하고, 혹시 실수할까 걱정되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결혼 후 시댁과 처가에서 가족들을 부르는 호칭과, 주변 사람들에게 우리 처가와 시댁 식구들을 어떻게 지칭해야 할지 정리한 내용을 통해, 새롭게 생긴 가족들과의 관계를 조금 더 편안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나'를 중심으로 살펴보실 수 있도록 엑셀 표로 정리해 드렸으니 도움이 되신다면 좋겠습니다. 또, 남에게 시댁 식구나, 처가 식구를 언급할 때 뭐라고 불러야 할지도 알려드려요.시댁 호칭결혼해서 며느리가 된 후, 시.. 2024. 8. 11. [친족관계] ① 촌수 정리, 3촌, 4촌부터 8촌까지, 근친혼 기준 지난 2022년 8촌 이내 결혼(‘근친혼’)을 금지하는 민법 조항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합헌 결정을 내렸어요. 다만 근친혼의 경우 혼인 자체를 처음부터 무효로 보는 조항에 대해서는 헌법불합치로 결정했는데요, 이 효력은 법 개정 시한인 2024년 12월 31일까지만 효력이 유지된다고 해요. 또 드라마나 영화에서 ‘이모’, ‘삼촌’, ‘사촌’ 같은 단어들을 자주 들을 수 있죠. 심지어 식당에서 주인 아주머니나 종업원 아주머니를 '이모~'라고 부르는 경우도 흔합니다. 우리 일상에서도 친숙하게 쓰이는 이 단어들, 알고 보면 꽤 재미있고 유용한 정보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 법률에 따른 촌수와 친족 호칭을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근친혼 기준8촌 이내 결혼을 하게 되면 근친혼이 됩니다. 지난 2022년 헌법재판소의 .. 2024. 8.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