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통│예절

나이 부르는 말, 불혹 이순 환갑 용어 뜻과 출생연도 (2025, 한국 나이 기준)

by 호기심 스마일 2025. 3. 28.

나이별 용어, 한국 나이 기준, 출생연도 계산, 전통적인 나이 명칭, 지학 의미, 약관 의미, 이립 의미, 불혹 의미, 지명 의미, 이순 의미, 환갑 의미, 고희 의미, 산수 의미, 졸수 의미, 천수 의미, 나이별 상징, 한국 나이 계산법, 2025년 나이 기준

 

특정 나이를 지칭하는 전통적인 용어들이 있습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온 이 용어들은 각각 나이에 따라 삶의 의미나 단계를 상징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 나이 기준으로 정확하게 계산된 나이별 용어와 출생연도를 정리했습니다.


 나이별 용어와 의미 (한국 나이 기준)

용어 나이 (한국 나이 기준) 의미
지학(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청소년기)
약관(弱冠) 20세 남자가 성년이 되는 나이 (고대 중국에서는 성년이 되면 관을 쓴다는 의미)
이립(而立) 30세 자립할 수 있는 나이 (사상과 인생관이 확립되는 시기)
불혹(不惑) 40세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나이 (자신의 판단이 확고해지는 시기)
지명(知命) 50세 천명을 아는 나이 (삶의 의미를 깨닫고 이해하는 시기)
이순(耳順) 60세 귀가 순해지는 나이 (다른 사람의 말을 편견 없이 받아들이는 시기)
환갑(還甲) 61세 육십갑자를 한 바퀴 돌아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 (인생의 한 주기 완료)
고희(古稀) 70세 옛날에는 드문 나이라는 의미 (두보의 시에서 유래: “인생칠십고래희”)
산수(傘壽) 80세 ‘산(傘)’이라는 한자가 팔십(八十)과 비슷한 모양에서 유래
졸수(卒壽) 90세 ‘졸(卒)’의 약자 ‘卆’가 숫자 90과 비슷한 모양에서 유래
천수(天壽) 100세 하늘이 준 나이로서 장수의 의미 (100세를 살아가는 의미)

 출생연도 기준 (한국 나이 기준, 2025년 기준)

  • 한국 나이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1살이며, 매년 1월 1일에 한 살씩 늘어납니다.
  • 따라서 2025년을 기준으로 한 출생연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용어 나이 (한국 나이 기준) 출생연도 (2025년 기준)
지학(志學) 15세 2011년생
약관(弱冠) 20세 2006년생
이립(而立) 30세 1996년생
불혹(不惑) 40세 1986년생
지명(知命) 50세 1976년생
이순(耳順) 60세 1966년생
환갑(還甲) 61세 1965년생
고희(古稀) 70세 1956년생
산수(傘壽) 80세 1946년생
졸수(卒壽) 90세 1936년생
천수(天壽) 100세 1926년생

 


 마무리

위 내용은 2025년을 기준으로 한 한국 나이 계산법을 따랐습니다. 한국 나이를 기준으로 나이별 용어를 사용할 때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1살로 시작하며 매년 1월 1일에 한 살씩 증가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