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인구는 매달 변동하며, 경제,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2월 기준 대한민국의 전체 인구수와 17개 시·도별 인구 통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 현황 (2025년 2월 기준)
- 총 인구수: 51,191,817명 (전국)
- 세대 수: 24,170,531세대
- 평균 세대당 인구수: 2.12명
- 남성 인구수: 25,484,498명
- 여성 인구수: 25,707,319명
- 성비(남성/여성 비율): 0.99 (여성이 더 많음)
- 전월 대비 인구 감소: 16,057명 감소
지역별 인구 통계 분석
📌 수도권 (서울, 경기, 인천)
지역 | 총 인구수 | 세대 수 | 세대당 인구수 | 남성 인구수 | 여성 인구수 | 성비 |
서울특별시 | 9,334,828 | 4,492,425 | 2.08 | 4,505,412 | 4,829,416 | 0.93 |
경기도 | 13,698,657 | 6,072,106 | 2.26 | 6,883,368 | 6,815,289 | 1.01 |
인천광역시 | 3,027,854 | 1,380,110 | 2.19 | 1,512,651 | 1,515,203 | 1.00 |
합계 (수도권) | 26,061,339 | 11,944,641 | 2.18 | 12,901,431 | 13,159,908 | 0.98 |
분석
수도권은 대한민국 인구의 약 50.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의 인구수가 가장 많으며, 서울은 여전히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지만 성비가 0.93으로 여성 인구가 더 많습니다.
광역시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지역 | 총 인구수 | 세대 수 | 세대당 인구수 | 남성 인구수 | 여성 인구수 | 성비 |
부산광역시 | 3,262,337 | 1,573,020 | 2.07 | 1,587,357 | 1,674,980 | 0.95 |
대구광역시 | 2,362,578 | 1,107,127 | 2.13 | 1,158,607 | 1,203,971 | 0.96 |
광주광역시 | 1,405,226 | 658,792 | 2.13 | 693,552 | 711,674 | 0.97 |
대전광역시 | 1,439,809 | 690,964 | 2.08 | 717,573 | 722,236 | 0.99 |
울산광역시 | 1,095,778 | 496,077 | 2.21 | 563,999 | 531,779 | 1.06 |
세종특별자치시 | 391,669 | 164,111 | 2.39 | 194,967 | 196,702 | 0.99 |
분석
부산광역시의 인구수가 가장 많지만, 성비는 0.95로 여성 인구가 더 많습니다. 반면, 울산광역시는 유일하게 성비가 1.06으로 남성 인구가 더 많습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평균 세대당 인구수가 2.3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별자치도 및 도 (전라북도, 강원도 등)
지역 | 총 인구수 | 세대 수 | 세대당 인구수 | 남성 인구수 | 여성 인구수 | 성비 |
전북특별자치도 | 1,735,008 | 865,541 | 2.00 | 864,313 | 870,695 | 0.99 |
강원특별자치도 | 1,513,735 | 765,316 | 1.98 | 761,064 | 752,671 | 1.01 |
제주특별자치도 | 668,205 | 314,861 | 2.12 | 334,061 | 334,144 | 1.00 |
충청북도 | 1,590,107 | 789,271 | 2.01 | 809,548 | 780,559 | 1.04 |
충청남도 | 2,135,340 | 1,055,137 | 2.02 | 1,095,862 | 1,039,478 | 1.05 |
전라남도 | 1,785,487 | 913,114 | 1.96 | 901,141 | 884,346 | 1.02 |
경상북도 | 2,524,067 | 1,292,811 | 1.95 | 1,277,157 | 1,246,910 | 1.02 |
경상남도 | 3,221,132 | 1,539,748 | 2.09 | 1,623,866 | 1,597,266 | 1.02 |
분석
- 인구수는 경상남도(3,221,132명)가 가장 많습니다.
- 여성 인구보다 남성 인구가 더 많은 지역은 충청북도(1.04), 충청남도(1.05), 전라남도(1.02), 경상북도(1.02), 경상남도(1.02), 강원특별자치도(1.01), 제주특별자치도(1.00) 입니다.
- 평균 세대당 인구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특별자치도(1.98)로 나타났습니다.
종합 분석 및 결론
대한민국의 인구는 수도권에 절반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전월 대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방과 수도권의 인구 격차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인구 분포의 불균형 문제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과제입니다.
본 글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jumin.mois.go.kr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계시록 (1), 내가 궁금해서 정리한 요한계시록 성경 내용 (0) | 2025.03.23 |
---|---|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2024년 기준 학교 현황 (2) | 2025.01.01 |
고교학점제란│꼭 알아야 할 핵심 변화와 학습 전략 (0) | 2025.01.01 |
2025년 고교 내신 변화와 2028년 대입 개편│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필수 내용 정리 (2) | 2025.01.01 |